본문 바로가기
투자 상식

주식은 초겨울에서 봄까지만 하는 것이다!

by 스노우볼티비 2023. 12. 2.
728x90

결론은 주식은 1년 내내 하는 것 보다 10월 말에서 3월말 까지만 하는 것이다.

3월에서 10월 사이는 신규 투자는 안 하고 기존에 물린 종목만 가지고 잘 견디어라 입니다.

 

"마켓 타이밍"은 주식 시장에서 투자를 할 때 언제 주식을 사고 팔아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전략이나 기술적인 접근 방식을 가리킵니다. 그러나 마켓 타이밍은 주식 시장에서 매우 어려운 과제 중 하나이며,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합니다. 아래는 마켓 타이밍에 대한 주요 개념과 전략 중 일부를 설명합니다:

  1. 기술적 분석: 기술적 분석은 주가 차트, 거래량 및 기타 통계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식 가격의 향방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. 여러 지표와 패턴을 사용하여 특정 시점에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시그널을 찾으려고 합니다.
  2. 펀더멘털 분석: 펀더멘털 분석은 기업의 재무 상태, 수익성, 성장 전망 등을 평가하여 기업 가치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. 펀더멘털 투자자는 기업의 기초적인 가치에 따라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결정을 내립니다.
  3. 시장 심리: 시장 심리는 투자자들의 감정과 행동을 분석하여 주식 시장의 흐름을 예측하려는 시도를 말합니다. 예를 들어, 과도한 낙관이나 과도한 비관이 발생할 때 반대로 움직일 가능성을 고려합니다.
  4. 이동평균선: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식 가격의 평균을 계산한 선입니다.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교차점을 통해 주가의 추세 전환을 감지하려고 하는 전략이 있습니다.
  5. 경제 지표: 경제 지표는 경제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통계자료로, 투자자들은 이러한 지표를 분석하여 주식 시장의 향방을 파악하려고 합니다. 예를 들어, 고용률, 소비자물가지수, GDP 성장률 등이 있습니다.
  6. 뉴스와 이벤트: 주식 시장은 뉴스와 이벤트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. 투자자는 중요한 경제적, 정치적, 기업적 뉴스와 이벤트를 주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.

주식도 계절성이 있는데 이런 계절성을 깨는 변수, 이벤트, 악재가 발생하나 두달만 버티면 원상 회복 됩니다. 이 두달 버티기가 여러운데, 분산 투자(포트폴리오 구성)와 여러 종목(20~25개) 보유로 리스크를 낮추는 것 입니다.